진료시간안내
- 평일 AM09:00-PM06:00
- 토요일 AM09:00-PM01:00
- 점심 PM01:00-PM02:00
일요일 및 공휴일휴진


일요일 및 공휴일휴진
02-3444-8875
홈으로
과도한 운동 후 '콜라색 소변'? 이 질환을 의심해야 합니다
 
 운동에 대한 관심과 열정으로 러닝이나 다양한 고강도 운동을 꾸준히 이어가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체력과 컨디션을 고려한 적절한 운동이 중요하며, 지나치게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신장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극심한 근육통과 함께 혹시 '콜라색' 소변을 보게 된다면 단순한 몸살이나 혈뇨로 가볍게 넘길 것이 아니라 '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근육 손상이 유발하는 '콜라색 소변'의 정체
횡문근융해증은 일반적인 혈뇨와는 발생 기전이 다릅니다. 이는 근육 세포가 손상되면서 근육 안에 있던 '미오글로빈(myoglobin)'이라는 단백질이 다량 배출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미오글로빈은 적혈구처럼 붉은색을 띠는 특성이 있어 소변 색깔이 붉거나, 심한 경우 검은 콜라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콜라색 소변은 단순히 피가 섞인 혈뇨가 아니라, 근육이 심하게 손상되고 있다는 중요한 신호로 인식해야 합니다.
횡문근융해증의 주요 증상과 심각한 합병증
횡문근융해증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합병증은 급성 신부전입니다. 근육 내 미오글로빈이 사구체에서 여과된 후 결정을 형성하여 신 세뇨관을 폐쇄시키거나, 그 대사 물질이 신 세뇨관 괴사를 유발하여 신장 기능 부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주된 증상으로는 근력 감소, 심한 부종, 경련과 같은 근육 합병증 외에도 허혈성 근괴사, 마비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근육뿐만 아니라 간과 신장 등 주요 장기에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고강도 운동 외 다양한 발생 원인과 대처법
횡문근융해증은 고강도 운동 외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지혈증 치료에 사용되는 스타틴 계열의 약물은 횡문근융해증을 유발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약제 관련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또한 독감(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자체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고온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에도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횡문근융해증 증상이 의심될 경우 신장 건강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신속하게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원에서는 주로 혈액 검사를 통해 근육 효소 수치를 확인하여 진단하며, 적절하고 충분한 휴식, 수액 요법, 그리고 전해질 보충 등을 통해 근손상으로 인한 체액 및 전해질 이상 문제를 개선해야 합니다. 치료가 늦어질 경우 투석 치료가 필요한 신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초기 집중 치료와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새로운 운동을 시작하거나 운동 강도를 높일 때는 항상 점진적으로 강도를 늘려 근육이 적응할 시간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탈수 상태에서는 횡문근융해증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운동 전후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 몸의 수분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아울러 특정 약물을 복용한 후 심한 근육통이나 콜라색 소변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약물 복용을 중단하고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2025.10.31
2025.10.31 2025.10.31
2025.10.31 2025.10.31
2025.10.31 2025.10.30
2025.10.30